GPU 조달부터 해외 실증까지…네이버클라우드, '국가대표 AI' 앞서가나 [AI브리핑]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GPU 조달부터 해외 실증까지…네이버클라우드, '국가대표 AI' 앞서가나 [AI브리핑]

profile_image
TheGUY 레벨 레벨
4시간 14분전 4 0

본문

AI 생태계 기여·인프라 확보·공공 실증 3박자…소버린AI 수출 전략도 본격화'국가대표 인공지능(AI)' 개발을 목표로 정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프로젝트' 공모가 막바지에 이른 가운데, 네이버클라우드가 그래픽처리장치(GPU) 조달력과 글로벌 실증 경험, 상용화 역량 등을 앞세워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 정책 방향과 맞닿은 '소버린AI 전략'도 네이버클라우드의 강점으로 꼽힌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9일 오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일본 사업 성과와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9일 오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일본 사업 성과와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14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클라우드는 자체 AI 솔루션의 일본 실증 성과를 통해 정부 정책 방향과 맞는 활용 사례를 제시했다고 내부적으로 자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시마네현 이즈모시에 도입된 AI 안부전화 ‘케어콜’과 디지털트윈 기반 고령자 돌봄 서비스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들 사례를 최근 열린 간사이 엑스포 현장에서 소개하며 해외 실증 성과를 확인했다.

이 같은 성과는 우리 정부의 '독자 AI 프로젝트' 사업과 관련해 주목된다. 이 사업은 범용 인공지능(AI) 모델을 독자 기술로 개발하고 이를 통해 국내 AI 생태계를 자립시키겠다는 목표로 추진된다.

정부가 이번 사업의 궁극적 방향으로 ‘소버린AI’ 구축과 함께 글로벌 수출 가능한 기술 상품 고도화를 제시한 만큼, 네이버클라우드의 해외 실증 사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사업의 평가 항목 중 ‘파급효과 및 기여계획’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그간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역량을 축적해온 데다, 최근에는 경량화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추론 특화 모델까지 선보이며 생태계 기여에 주력해왔다. 네이버의 상용 서비스를 통해 하이퍼클로바X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했고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술 고도화와 이를 통한 수요처 확장에도 성과를 내고 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지난 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각국의 사회 문제를 기술로 해결하는 것이 우리가 말하는 소버린AI”라며 “AI는 이제 기술을 넘어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발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케어콜을 비롯한 실증 사례를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공공 목적 기술로 진화시키겠다는 전략적 의지를 담고 있다.
 



기술력과 생태계 기여계획 외에 인프라 확보 측면에서도 역량을 입증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한 ‘AI 컴퓨팅 자원 활용 기반 강화(GPU 임차 지원)’ 사업에서 2트랙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엔비디아 H100·H200 GPU 1000장 또는 B200 500장 규모의 공급 능력을 제시했다.

다만 GPU 임차사업자는 '독자AI 프로젝트'의 정예팀으로 선발되더라도 정부가 직접 제공하는 1차 GPU 지원은 받을 수 없다. 따라서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를 자체 인프라와 사업 구조로 상쇄하며 개발과 공급 전략을 동시에 추진 중이다.

독자AI 프로젝트의 평가 항목은 △기술력 및 개발 경험 △파급효과 및 기여계획 △개발 목표 우수성 △개발 전략·기술 우수성 등이다. 이 중에서도 오픈소스화를 통한 국내 AI 생태계 기여 여부가 핵심 평가 기준으로 제시됐다. 오는 21일 공모를 마감한다. 최초 5개 정예팀을 선발해 단계평가로 압축을 추진, 2027년 2개 팀 선정을 목표로 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자체 모델 역량과 실증 경험, GPU 조달 능력을 결집해 최소 구성의 컨소시엄 전략으로 독자AI 프로젝트에 도전한다는 계획이다. 네이버클라우드 관계자는 "아직 컨소시엄 구성은 확정되지 않았고, 사업계획서도 준비 중인 단계”라면서도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 운영과 모델 개발 경험이 이번 사업에서도 주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8 건 - 1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레벨 레벨 TheGUY
4시간 14분전
레벨 레벨 TheGUY
4시간 15분전
레벨 레벨 TheGUY
4시간 15분전
레벨 레벨 TheGUY
4시간 15분전
레벨 레벨 TheGUY
4시간 16분전
레벨 레벨 TheGUY
4시간 18분전
레벨 레벨 TheGUY
4시간 26분전
1
레벨 레벨 TheGUY
4시간 27분전
3
레벨 레벨 TheGUY
4시간 27분전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